줄거리 및 등장인물
서머싯 몸의 『달과 6펜스』는 1919년에 발표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읽히는 명작으로, 실존 화가 폴 고갱의 삶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된 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의 인생 역정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예술에 대한 광기와 집착, 그리고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담아낸다. 스트릭랜드는 런던의 성공한 증권 중개인으로, 평범한 가정생활을 영위하고 있던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돌연 아내와 자식을 버리고 파리로 떠나, 그림에 인생을 바치기로 결심한다. 그의 이탈은 단순한 일탈이 아닌, 자신 내면의 충동과 진실한 삶에 대한 갈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스트릭랜드는 궁핍과 질병 속에서도 예술혼을 불태우며, 인간으로서의 윤리와 도덕을 거부하고 오직 자신의 진실에 따라 살아간다. 소설은 화자인 '나'의 시선을 통해 스트릭랜드의 삶을 재구성하는 구조를 띠며, 독자는 이 과정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예술의 본질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게 된다. 등장인물로는 스트릭랜드 외에도 그를 이해하려는 화자, 파리에서 만난 예술가 디르크 스토르브, 타히티에서의 연인이자 마지막 뮤즈 아타 등이 있으며, 이들은 스트릭랜드의 변화와 몰락, 그리고 위대한 창작의 여정을 증언하는 인물들이다.
전세계 판매부수 및 제작배경
『달과 6펜스』는 출간 직후부터 평단과 대중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으며,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이 작품은 서머싯 몸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하며, 그가 20세기 초반 영미 문학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떠오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몸은 실제로 프랑스 타히티에서 고갱의 생애에 대해 조사하면서 이 작품을 구상했으며, 스트릭랜드라는 인물을 통해 예술가의 본능적 충동과 이기적 욕망, 그리고 창작의 순수성을 문학적으로 구현해냈다. 작품의 제목은 윌리엄 헤이즐릿의 글에서 따온 것으로, “사람들은 하늘의 달을 쳐다보며 꿈꾸지만, 발밑의 6펜스를 줍는 데만 열중한다”는 문장을 암시한다. 이는 스트릭랜드가 세속적 안락을 버리고 예술이라는 이상을 좇는 삶을 선택한 배경을 상징적으로 설명해준다. 이후 『달과 6펜스』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라디오 드라마, 연극, 영화로도 제작되며 그 생명력을 이어갔다. 특히 1956년 영국 BBC에서 제작한 드라마는 큰 인기를 끌었고, 이후 영화화된 버전은 고갱의 예술 인생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내 및 해외 반응
국내에서는 『달과 6펜스』가 1980년대부터 다양한 번역본으로 출간되며 많은 독자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특히 예술과 자유에 대한 고민이 깊은 청소년기 혹은 젊은 세대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당신은 달을 좇을 것인가, 6펜스를 줍고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하나의 상징처럼 회자되었다. 독자들은 스트릭랜드라는 인물에 대해 경외와 불쾌함을 동시에 느끼며, 그의 무책임한 인생과 위대한 창작 사이의 간극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품었다. 국내 서평가들은 이 작품을 통해 인간 욕망의 양면성과, 예술의 가치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발견할 수 있다고 평했다. 해외에서는 이 작품이 영문학 고전으로 자리 잡아, 영미권 대학의 필독서로 꾸준히 채택되었으며, 프랑스, 독일, 일본 등에서도 꾸준히 읽히고 있다. 특히 스트릭랜드의 파격적인 선택과 타히티에서의 삶은 서구 문명 비판 및 원시적 삶에 대한 동경을 자극하며 철학적, 인류학적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달과 6펜스』는 지금도 여전히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대를 초월한 감동과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